현대중공업이 우리나라에 있는 유일한 CIGS 박막 솔라패널 양산업체인 현대어반시스를 합작투자사인 어반시스에 매각한다고 발표했읍니다 4-5년전에 완공된 어반시스의 국내공장은 완공되자마자 사실상 생산을 중단한 상태로 사업을 접은상태 였읍니다 a-Si & Cd-Te 등으로 대표되던 박막 태양광 솔라패널은 한때 전체 태양광용 솔라패널 시장에서 상대적으로 효율은 낮지만 저렴한 가격을 무기로 점유율을 상당히 끌어올리면서 선전했지만 결정형 태양광 솔라패널의 원료인 폴리실리콘 가격이 최고 USD 475/Kg 에서 급전직하해서 한떄는 USD 13/Kg까지 떨어지고 이후 결정질 태양광 솔라패널 가격도 급격하게 인하되는 바람에 가격경쟁력을 상실해 Cd-Te방식의 제품을 생산하는 미국의 First solar를 빼고는 대부분 사업을 접은상태 입니다 3세데 태양광 솔라태널중 CIGS제품은 박막 솔라패널 형태로도 많이 생산되는데 이또한 CIGS제품의 제품 안정성 특히 20-30년에 걸치는 장기간 사용에 따른 효율저하문제 등등으로 시장 진입에 어려움이 있는 상황입니다 제품의 특징상 박막 태양광 패널은 두꺼은 유리 두장 사이에 P-N 졍션을 위한 물질을 마이크로 두께로 주입하게 되는데 이특성으로 인해 몇몇 업체를 빼고는 거의 없어진 박막 솔라패널 업체들에게 새로운 기회가 되고 있읍니다 박막 솔라패널의 새로운 개척분야는 BIPV인데 제품자체의 특성상 사용하게된 유리를 이용해서 건물의 외벽창문이나 지붕등에 새로운 BIPV 분야를 개척하고 있읍니다 전통적인 불투명한 형태의 박막 솔라패널 이외에도 반투명 형태의 제품도 속속 시장에 나오고 있는 상황인데 아예 처음부터 BIPV제품을 겨냥해서 시장에 출시되고 있는 상황입니다 이런 반투명 제품은 아직까지는 상당히 고가이지만 수요가 확대되고 양산업체가 늘어나면 가격은 상당히 떨어질것으로 보여집...
중국 산동성 성도인 지난시에서 도시고속화도로에 태양광 패널을 깐 이른바 태양광 고속도로가 12월 28일 인 지난주 목요일에 완공이 되엇다고 합니다 2차선으로 해서 양쪽 각 1Km에 걸쳐 시공된 이 이른바 태양광 고속도로는 삼층구조로 맨위층에는 투명 콘크리트가 설치되고 중간층에 태양광 발전을 위한 태양광 솔라패널 맨아래층에 솔라패널을 보호하기 위한 보호층 구조로 건설되었습니다 이외에도 주행중인 전기차를 위한 무선 충전시설과 Ai 자율 주행차 시험을 위한 무선 인터넷 접속장치등이 같이 설치되었다고 하는데 이설비들은 아직은 가동에 들어가 않았다고 합니다 이도로에서 1년에 약 1Gw의 전력을 생산해서 도로 가로등 등의 주변 관리시설에 먼저 공급하고 남는 전력은 전력망에 연결해서 전력회사로 공급된다고 합니다 그런데 이게 생각보다는 비싸지 않은 건설비라는 생각이 듭니다 평방미터당 USD458로해서 약 USD2백7십만 달러가 들어 갔다고 합니다 물론 그냥 콘크리트로 타설하는것에 비하면 몇배라고 하지만 비슷한 개념의 프랑스 솔라로드 보다는 반정도 가격이라고 합니다 한국의 도시 고속화도로 건설비용이 얼마인지 몰라도 이것보다 싸지는 않을듯 한데 말입니다 2차선이라서 그런가 모르겠습니다 당연히 대규모로 시공한다면 건설비는 낮아질것이라고 합니다 추가로 도로를 이용함으로서 토지이용에 효율성이 증대되고 송전비용이 절감된다고 합니다 상판에 설치된 투명 콘크리트의 내구성이 얼마나 나올지가 문제일듯 합니다
Cd-Te 박막 태양광 솔라패널 업체로 유일하게 박막업체중 성장을 지속하고 있는 미국의 퍼스트솔라가 드디어 신제품인 6씨리즈 양산 제품을 공개 했읍니다 2016년말에 개발 시제품이 나온이후 거의 1년만입니다 이전까지 씨리즈4가 한장당 120watt내외 엿던것에비해 한장당 400watt가 넘어가는 대용량 솔라패널 입니다 1.2Mx2M 크기로 크기가 엄청 커지기도 했지만 실리콘베이스 태양광 발전용 솔라패널에 버금가는 17%의 광전환 효율을 달성했다고 합니다 즉 효율도 향상 크기도 키워서 한장당 출력을 올린것입니다 이런 기술이 쉽지않은것은 Cd-Te 박막필림 솔라패널도 다른 박막필림 솔라패널처럼 두까운 유리 두장을 사용하기 때문에 이런식으로 유리기판의 사이즈를 변경한다면 근본적으로 새공장 건설이나 다름없는 규모로 생산라인 전체를 전부 바꾸어야만 가능한 것입니다 미국 공장에서 첫번째 양산에 들어가는 6씨리즈는 퍼스트 솔라의 주력품목이던 4씨리즈에서 개발이 완료되어있던 5씨리즈를 포기하고(아래사진) 4에서6으로 옮겨간것입니다 600MW 규모의 미국의 첫번째 공장에서 양산에 들어갔지만 물건이 본격적으로 츨하되는 시기는 내년이 될듯하다고 합니다 더불어서 싱가폴 공장및 베트남에 추진중인 신규공장들도 생산라인 설치에 들어갈 예정이라고 합니다 현재까지 선주문 받은것만 약 4.3GW물량이라고 하니 성공이 예상된다고 하겠습니다
댓글
댓글 쓰기